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지식4

근로계약서 작성 양식 필수기재사항 미작성 벌금 근로계약서 작성시 지켜야할 사항 상세정리!근로계약서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 근로 조건을 세부적으로 정하고, 분쟁 발생 시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임금, 근무시간 등 필수 사항을 서면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근로계약서 작성 시 필수 요소, 주의사항, 작성 예시 등을 자세히 나타냅니다..1. 근로계약서의 정의 및 필요성근로계약서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근로를 제공받는 대가로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는 계약서를 의미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서면으로 작성하는 것이 필수이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근로계약서 작성의 필요성법적 보호: 근로자와 사용자의 권리 및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여 분쟁 발생.. 2025. 3. 19.
2025년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상세정리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상세정리연차유급휴가(연차)와 연차수당은 근로자들이 챙겨야 하는 필수적인 권리 중 하나입니다. 연차의 발생 기준과 연차수당의 계산 방법을 자세히 정리해볼게요1. 연차휴가 발생 기준연차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연차 발생 기준은 입사 1년 차 근로자와 2년 차 이후 근로자로 나뉩니다.① 1년 차 근로자의 연차 (입사 후 1년 미만)1개월 개근 시 1일의 연차 발생최대 11일까지 발생 가능 (1년 동안 개근 시)단, 1년 미만 근로자의 연차는 2년 차(입사 1년 후)에 발생하는 연차와 중복되지 않음② 2년 차 이후 근로자의 연차 (1년 이상 근속)입사 1년을 초과한 경우 15일의 연차 발생이후 2년마다 1일씩 추가 증가 (최대 25일까지 증가.. 2025. 3. 11.
4대보험 신고대상 의무 금액 절차 총정리 4대 보험 신고 기준 및 절차 총정리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며, 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부담하는 사회보험입니다. 사업주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 반드시 4대 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정확한 신고 기준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1. 4대 보험 신고 대상 및 기준① 국민연금가입 대상: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근로자보험료율: 기준소득월액의 9% (사업주 4.5% + 근로자 4.5%)신고 기한: 근로자 입사 후 14일 이내신고 방법: 국민연금공단 EDI(전자 신고) 또는 방문 신청② 건강보험가입 대상: 1인 이상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 (일용직 포함)보험료율: 보수월액의 7.09% (사업주 3.545% + 근로자 3.545%)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의 12.81% 추가 부담.. 2025. 3. 10.
25년도 최저시급, 최저임금(일급,월급계산), 주휴수당 2025년도 최저시급 상세정리2025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도 대비 170원(1.7%) 인상된 금액으로, 최저임금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시급이 1만 원을 넘었습니다.​2025년 최저임금 개요2025년도 최저임금은 시간급 10,030원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2024년(9,860원) 대비 170원(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일급으로 환산하면 8시간 근로 기준 80,240원이며, 월급은 주당 소정근로 40시간+유급주휴 8시간을 포함한 월 209시간 기준 2,096,270원입니다. 이 최저임금은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모든 사업장 및 근로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연도별 최저임금 비교적용연도시간급일급 (8h 기준)월급 (209h 기.. 2025. 3. 10.